믿고 쓰는 대체 불가 해외증권사 《탑3》

《환율전망》 ‘비트코인-달러’(BTC-USD), 일봉차트에서 ‘공포의 흑운형’ 출현!

비트코인-달러-단기전망-차트분석

안녕하세요~ 소액 재테크 개미FX> 관리인 마진PD입니다.

어제도 달러-엔화의 리딩 추천가 방향성 (시세관) 은 맞았지만, 지루한 박스권 시세가 계속되고 있네요. 

이럴 때는 어마무시한 변동폭을 자랑하는 비트코인 – 달러 (BTC/USD) 트레이딩에 도전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단, 코인 거래는 하루 변동폭 (변동성) 이 10%가 넘는 날도 종종 있으니, 손절 주문 안 걸고 하시다가는… 단 한방에 골로 가십니다. (~_~;)

비트코인 – 달러 (BTC/USD) 기본 지식

저의 독자 님이시라면 이미 아시겠지만, 저는 평소에 코인거래를 매우 비판적으로 평가해 왔습니다. 다른 금융 트레이딩과 비교해서 시세 자체가 불안정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차트분석의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죠.

게다가, 거래소 운영자들이 맘만 먹으면 얼마든지 먹튀 가능하다는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다는 점도 마음에 걸리기는 하지만… 가끔 기분 전환 용으로 조금씩 거래하는 수준이라면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까지도 개미FX>에서는 비트코인 – 달러 (BTC/USD) 트레이딩에 관련된 게시물은 거의 올리지 않고 있답니다. 그래도 기본 중의 기본은 전해드려야 할 것 같으니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비트코인 – 달러 변동성 (변동폭) 이해하기

ScreenClip 2 1

FX마진거래에서 변동성 (Volatility) 이 가장 큰 통화쌍은 파운드-엔, 파운드-달러 같은 GBP 관련 종목인데요, 그 움직임이 워낙 파괴적이면서도 종잡을 수 없기에 외환시장에서는 ‘흉기통화’라고 불리곤 합니다.

그래도, 비트코인 – 달러와 비교하면 애들 장난 수준이죠.

파운드 – 달러>를 ‘미친 송아지’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비트코인 – 달러>는 ‘브레이크 고장난 트럭’ 쯤 되겠네요.

예를 들어 파운드-달러가 조금 크게 움직이는 날은 300핍 전후로 추이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비트코인 – 달러는 그 두 배 정도 움직인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다 정확한 핍수를 알고 싶으신 개미님은 차트를 열어서 직접 확인해 보세요. (^ω^)

달러-엔화와 비교하면 5~6배나 높은 무시무시한 변동성을 자랑한답니다. 뚝배기 떠트리기에는 최고의 환경이죠.

FX마진거래 통화쌍과는 달리, 비트코인 – 달러는 소숫점 뒷자리가 아니라 앞자리 첫번째가 ‘1핍’에 해당하는 자리입니다.

예를 들어 가격 시세가 9800.50에서 9900.50으로 상승했다면 100핍 오른 것이죠.

비트코인 – 달러 (BTC/USD) 레버리지와 증거금

비트코인-달러-변동성-변동폭-시세전망

세계 최고 수준의 협소 스프레드를 자랑하는 마진거래 브로커 ‘트레이드뷰’ (Tradeview)의 경우, 비트코인 – 달러의 레버리지는 최대 10배입니다. (엑스엠은 5배)

FX마진거래와 비교하면 많이 낮은 탓에, 처음에 납입해야 하는 개시증거금 (위탁증거금) 이 비싸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지만, 변동폭은 훨씬 크기 때문에 레버리지가 낮아서 짜증나는 일은 거의 없죠.

레버리지나 증거금의 개념에 대해서 아직 모르시는 개미님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FX마진 거래 입문 기본 개념 총정리
FX 마진거래의 장단점과 기본개념 총정리

비트맥스 (BitMEX) 같은 코인 전문 거래소에서는 BTC/USD의 레버리지가 최대 100배, 이더리움 (ETH) 도 50배나 되는데요… 코인 거래를 이정도 레버리지로 하시면, 그냥 짤짤이 ‘도박’을 하시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의사항
FX마진거래의 대부분의 종목과는 달리, 비트코인 – 달러는 1랏의 계산 가치가 100,000만 달러가 아니라 10,000달러입니다.

따라서, 레버리지가 10배이면, 1랏 베팅시 필요한 증거금은 1,000달러가 됩니다.

내가 아무리 사나이라 해도, 코인을 레버리지 50배 이상으로 거래하시는 분들은 투기꾼으로밖에 보이지 않네요.

비트코인 – 달러 차트분석 및 시세 전망

비트코인-달러-차트분석

일봉 캔틀차트상에서는, 작년 12월 중순에 쌍바닥 (더블바텀) 을 형성하고 반등세로 돌아선 후,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비트코인 – 달러 (BTC-USD).

작년 6월 26일에 기록했던 고점 (13857달러) 까지 올라 갈 것을 기대하면서 ‘매수포지션’을 그대로 보유하고 계신 분들도 많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어제 일봉차트에서는…

꼬리형 캔들 (망치형, 역 망치형, 교수형, 유성형, 잠자리형, 비석형) 에 못지 않게 강력한 ‘반전신호’로서 유명한 ‘흑운형’ 캔들이 출현하고 말았네요.

게다가 현재 가격 시세는 ‘전고점’ (9,920달러)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는 상황이라, 못해도 약간의 하락조정은 나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속임수 캔들봉이 나타났다!

어제 아침에는 갭상승으로 출발하면서 10,000달러를 상향 돌파하고, 전고점이 깨지는 듯 싶었지만, 오후에는 곧바로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현재는 그 넓었던 ‘갭’이 전부다 메워진 상황입니다.

다시 말해, 어제 비트코인 – 달러 일봉 차트에서 발생했던 ‘전고점 돌파’는 속임수였다는 말이죠.

물론 ‘갭’ 하단 가격이 지지선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지만, 만약 이 수준이 밑으로 뚫린다면 하락폭을 더욱 키울 것으로 전망되네요.

어떤 금융 차트든, 페이크성 움직임이 포착되면 시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요, 분봉, 시간봉 보다도 일봉이나 주봉 같은 차트일수록 그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시간이 보다 긴 캔들봉 차트일수록, 보다 많은 트레이더들의 심리적인 요소가 심도 있게 축적되는 덕분에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이죠.

FX마진 추천가 리딩 (달러-엔, 유로-달러)

달러-엔화 , 유로-달러 모두  매도> 우선 전략으로 대응해 볼 것을 추천한다. 

*오늘은 파운드-엔화와, 호주달러 리딩은 관망으로 갑니다.

달러-엔화
추천 전략
매도
진입가: 109.980
익절가: 109.630
손절가: 110.300

예상 레인지
109.550–109.980
유로-달러화
추천 전략
매도
진입가: 1.09330
익절가: 1.08900
손절가: 1.09630

예상 레인지
1.08850–1.09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