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진거래 재태크 【개미FX】 운영자 ‘마진PD’입니다.
얼마 전에 넷텔러(NETELLER) 관련 과거 포스팅을 최신 정보로 수정하고, 인증 관련 글을 올렸었는데 다들 확인해 보셨는지요?
그런데, 아직도 계정 종류에 대해서는 여전히 헷갈려 하시는 초보님들이 계신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넷텔러 트루 (NETELLER True) 계정 ‘등업’ 방법 및 수수료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간단한 절차만 거치면 즉시 이체 수수료가 약 50% 정도나 저렴해지는 서비스이니 아직도 본인 계정 등급이 ‘스탠더드’라면 이번 기회에 업그레이드를 시도해 보세요~

넷상을 둘러보면, 넷텔러는 자주 막혀서 ‘스크릴’이나 ‘스틱페이’ 같은 다른 전자지갑으로 해외송금 결제를 처리해야 한다거나, 수수료가 스크릴 대비 비싸다는 허위 정보들이 종종 발견되오니 잘못된 정보로 판단 착오 없길 바랍니다.
넷텔러 트루(True) 계정이 필요한 이유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넷텔러 이용시 우리가 가장 많이 이용하게 되는 메뉴는 회원 간 ‘트랜’(이체) 기능입니다.
나의 넷텔러 계정에서 다른 넷텔러 계정으로 돈을 보낼 때 이용하게 되는 기능이죠.
브로커에서 출금 처리가 완료된 후, ‘트랜원’이나 ‘켁타’ 같은 환전업체(머니상)들의 넷텔러 계정으로 그 돈을 보낼 때에도 이 기능을 이용하게 됩니다.
이체 수수료는 돈을 보내는 쪽이 부담하게 되니, 저처럼 출금을 자주하게 되는 사람들은 스탠더드(standard) 계정보다 수수료가 훨씬 저렴한‘ 넷텔러 트루(True) 계정’이 압도적으로 이득입니다!
이체 수수료가 반값!

계좌를 처음 개설했을 때의 등급인 ‘스탠더드’ 계정의 이체 수수료는 송금액의 2.99%입니다.
반면, 넷텔러 트루 계정의 수수료는 1.45%입니다.
단, 1.45%로 계산한 수수료가 0.5달러 미만일 경우에는 최소 수수료인 ‘0.5달러’가 적용됩니다.
물론, 입출금 실적이 15,000불 이상이 되면 VIP 계정으로 자동 등업되면서 ‘이체 수수료 무료’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저처럼 한 번의 입출금에 수 만 달러 단위로 거래하는 분들은 ‘넷텔러 트루’ 계정이 딱히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겠네요. 몇 번만 거래해도 VIP 계정으로 ‘등업’되고, 비슷한 규모로 지속적으로 거래한다면 거의 영구적으로 유지되니까요.
넷텔러 트루 계정 등업 절차
- 스마트폰에 넷텔러 앱(어플) 설치
- 1유로 (약1.07 달러) 이상 입금
- 본인 인증

우선, 스마트폰 등에 넷텔러 앱을 깔고 1유로 이상 입금 후, 본인 인증만 하면 완료되는 간단한 절차입니다.
다만, 얼굴 인증 등이 조금 어려울 수도 있으니 어르신들은 아래 글 참고하시면서 천천히 시도해 보세요.

참고로, 반드시 위 순서대로 진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컨대, 컴퓨터로 넷텔러 계좌 개설 및 인증 후에 며칠 지나서 핸드폰에 앱을 깔고, 입금 절차를 완료해도 넷텔러 트루 계정으로 자동 업그레이드 됩니다.
‘넷텔러’ 충전(입금)에 이용 가능한 신용카드
아직까지도 대한민국의 후진 금융당국은 ‘넷텔러’나 ‘스크릴’은 물론이거니와, ‘페이팔’(PayPal)이나 ‘와이즈’(Wise)같은 초메이저 전자지갑에서도 국내은행을 이용할 수 없도록 규제를 가하고 있습니다.
FX 마진거래와 마찬가지로, ‘불법’이라고 명확하게 못을 밖았다가는 국제적으로 🐶망신을 당할 것 같으니, 관련법(자본시장법, 외환거래법, 전자거래법)을 요상하게 개정해 가면서 우회하고 있는 현실이죠.
인터넷 상에 관련 정보가 턱없이 부족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인데요, 초짜들 중에는 넷텔러(NETELLER)를 마치 불법 송금 사이트로 취급하는 얼간이들도 있을 정도입니다.
그렇다보니 카드 회사들도 넷텔러나 스크릴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하고 해외 결제가 안 되도록 태클 걸며 훼방을 놓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테스해본 결과, ‘비자카드’《VISA》 외의 신용카드 브랜드(마스터, 유니온페이 등)는 모두 막혀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삼성카드, 신한카드, 현대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등의 국내 카드 회사 종류와는 상관 없이, ‘해외결제’가 가능한 ‘비자카드’《VISA》 브랜드가 아니면 넷텔러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셈이죠. (22년 7월 현재)

이 부분은 넷텔러 측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기에 딱히 불만은 없지만, 문제는… 어떤 카드회사의 비자카드는 되고 어디는 안 되고 하는 불규칙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참고로, 제가 최근에 테스트한 결과(다음장 참조), 삼성카드와 현대카드에서 발급한 ‘비자카드’는 양쪽 모두 충전(입금)이 가능했기에, 곧바로 넷텔러 트루 계정으로 등업(자동)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외의 카드 회사에서 발급받은 《VISA》 카드로는 이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으니, 이 점을 반드시 참고하시고 카드발급 절차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실제 신용카드(VISA) 입금 화면
현재는 삼성카드 버전 밖에 없지만, 다른 카드 회사들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테니… 넷텔러 트루 계정 업그레이드에 실패한 적이 있는 분들은 마지막까지 참고해 보세요.
아래 화면은, 스마트폰에 삼성카드 앱을 설치한 후, 로그인 되어 있는 상황에서 ‘앱카드’ 기능을 이용하여 진행한 결과입니다.
저의 경우, 앱 설치 후 이미 결제수단을 비자카드(삼성카드)로 등록해 놓은 상태였기 때문에, 로그인 후 ‘예치 매뉴’로 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났네요.
입금할 돈을 도박 사이트에서 이용할 생각이 아니라면, 사용방법 선택 페이지에서 ‘아니요’를 누르고 넘어가세요.


*넷텔러 및 스크릴 상에서 유통되는 자금은, ‘도박 자금’(G머니)과 ‘그외 자금’(NG머니)으로 나뉘어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카드 정보 및 입금액 입력
테스트용이므로, 우선 5달러만 입금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치 확인 ’페이지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핸드폰에 설치되어 있는 ‘삼성카드 앱’이 자동으로 기동되면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보안 앱(V3 등)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니 주의하세요.


‘앱 카드’ 기능으로 결제가 무사히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위 우측 화면에서 ‘송금 수수료 절감’이라는 부분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이체를 권장하는 페이지가 나오는데요, ‘송금으로 이동’ 버튼을 누르면 계정 잔액 및 입금 수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넷텔러’는 자매 브랜드인 ‘스크릴’과 달리 기본 적인 한글 지원이 무난하게 장착되어 있으니 초보자들도 어렵지 않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루지 마시고 이번 기회에 ‘넷텔러 트루’ 계정으로 업글하고 수수료 할인 받아 보세요.^^ 티끌모아 태산입니다!
개미FX 카톡 채널로 문의하기
증권사로부터 수취한 광고료의 일부가 거래자에게 환원되는 구조로, 공식 사이트에서 개설한 계좌보다 훨씬 저렴한 거래비용으로 매매 가능! (스프레드는 동일)